circle 1
circle 2
전시개요
전시명
두껍아 두껍아: 집의 시간
기간
2025.5.10. - 2025.11.23.
장소
이탈리아 베니스 자르디니 한국관
전시 기획
CAC(Curating Architecture Collective: 정다영, 김희정, 정성규)
참여 건축가/작가
김현종(아뜰리에 케이에이치제이)
박희찬(스튜디오히치)
양예나(플라스티크 판타스티크)
이다미(플로라앤파우나)
커미셔너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 의도
두껍아 두껍아 /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
두껍아 두껍아 / 물 길어 오너라 / 너희 집 지어 줄께 /
두껍아 두껍아 / 너희 집에 불났다 / 쇠고랑 가지고 뚤레뚤레 오너라
제19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전시는 올해 건립 30년을 맞이한 한국관 건축을 탐구한다. 그간 수많은 작가와 작품이 오고 간 파빌리온의 의미를 ‘전시의 집’이라는 관점에서 재고찰한다. 이 전시는 한국관의 건립 계기와 지난 시간을 조명하면서 한국관의 미래와 지속가능성을 탐색해 본다. 한국관을 읽고 다시 쓰려는 이번 전시는 파빌리온을 순백의 중성적인 전시 장소가 아니라 다층적 의미를 갖고 있는 유기적 생명체로 바라본다. 전시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촉발하는 연구와 시각물로 구성된다.
한국의 유명한 전래 동요 제목에서 가져온 ‘두껍아 두껍아’는 이러한 내용을 풀어가는 은유적 틀이다. ‘두껍아 두껍아’는 폴리의 원시 형태라 할 수 있는 그로토(Grotto)를 연상시키는 흙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집짓기 노래다. 집에 관한 우화로 가득한 가사에 담긴 ‘헌 집’과 ‘새 집’의 관계는 30년을 기점으로 나뉜 한국관의 시간을 가리킨다. ‘집에 불이 나는’ 위기 상황은 한국관이 처한 한계들을 검토하고 기후위기와 같은 전지구적 맥락에서 베니스비엔날레를 생각하도록 이끈다. 전시의 보이지 않는 화자인 두꺼비는 한국뿐만 아니라 동서양 모두에서 변화와 재생을 상징하는 설화적 존재로 나무와 땅·하늘·바다와 같은 자르디니 공원의 오래된 공통 유산들을 환기한다. 한국관의 역사와 위상을 재조명하는 일은 파빌리온이 문화·정치적 관점에서 어떤 맥락을 갖는지 살피는 일로 이어진다. 이는 자연스레 베니스비엔날레에 도래할 변화와 재생을 상상하는 일이 될 것이다.
전시 구성
Curatorial Fable Curatorial Fable
이번 전시는 크게 두 개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한국관의 과거 자료 연구를 통해 기존 한국관을 재정비하는 일이다. 먼저 전시기획진은 건축물의 설계자 이름이나 완공일 같은 기본 정보를 명패처럼 만들었다. 그 밖에 작품에 캡션을 붙이듯 한국관 곳곳에 이곳을 식별하는 명제표를 설치했다. 한국관 조형의 근간이 된 주변 수목에도 이름표를 붙여주었다. 실내에는 그간 한국관 전시에서 거의 보여주지 않은 지하와 옥상의 평면과 단면, 주변 수목이 함께 표현된 배치도가 전시되었다. 이는 한국관이 무엇과 맞닿아 있는지 그것의 상호 돌봄적 관계들을 이야기하기 위한 작업이다. 한국관 건축 아카이브에서 수집한 여러 자료들을 편집한 영상 에세이는 한국관의 과거-현재-미래를 담고 있다. 여기에는 전시 제목의 두꺼비를 비롯한 다양한 존재들이 등장하여 그들의 시선으로 이 장소의 이야기를 전한다.
전시의 두 번째 구성은 작가에게 의뢰한 커미션 작업이다. 큐레이터의 요청을 받은 네 명의 건축가들은 한국관 아카이브를 조사한 후 그간 드러나지 않은 한국관의 의미를 보여주기 위해 파빌리온을 해체하고 재조립했다. 작가들은 한국관이 그간 천착했던 국가 정체성의 문제 보다 한국관이 지어질 때의 계기이자 조건이기도 했던 공동의 물리적 기반에 관심을 두었다. 이 작업들은 한국관을 물리적으로 변형시키기보다 상상력에 기반해 이곳의 존재를 일깨우고 증폭한다.
© 정진호
전시를 만든 사람들
커미셔너
예술감독
CAC(정다영, 김희정, 정성규)
참여 작가
김현종
박희찬
양예나
이다미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곽승찬
한국관 코디네이터
김은정
공간 디자인
김기석
그래픽 디자인
김유나
영상
백윤석
일러스트레이션
정진호
도록 에디터
박정현
곽승찬
도록 디자인
오혜진
도록 컨트리뷰터
곽승찬
앨리스 수진 김
김희정
김현종
박희찬
송률
레아카트린 스자카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양예나
이다미
전진영
정다영
정성규
출판 및 배급
프로파간다
자료 조사
이정원
영문 감수
앨리스 수진 김
운송
아트랜스
홍보
매그피알 앤 이미지
전시장 사진
최용준
웹 개발
디어스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정병국(위원장)
송시경(사무처장)
임근혜
최혜주
여선희
유지연
이해빈(아르코미술관)
최정은(예술후원·홍보센터)
 
파트너
이케아 코리아
후원
삼성문화재단
주성디자인랩|주|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피앤앨 / 김석우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주)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공간종합 건축사사무소
(주)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두오모
(주)제이아키브
기술 지원
LG 올레드 AI
LG 스탠바이미
전시 시노그래피 후원
VOLA
콜라보레이터
러쉬코리아
협찬
조병수건축연구소
원오원아키텍츠
하퍼스 바자 코리아
WOOYOUNGMI
작가 후원
스트락스/어퍼하우스
루나앤컴퍼니
경민산업
Helinox
종이 후원
한솔제지
감사한 분들
아르코예술기록원
신혜원
전진영
조병수
최욱
프랑코 만쿠조
협력기관
서울특별시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